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20년 베트남 플라스틱산업 현황 및 전망 2020.12.14 |
---|
|
2020년 베트남 플라스틱산업 현황 및 전망 1. 베트남 플라스틱산업 현황 □ 최근 플라스틱산업 현황 o '19년 베트남내 플라스틱 제품 생산량은 889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.2% 증가하였으며 전체 산업규모는 175억 달러에 달함 - 플라스틱산업은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는 산업 중 하나로 최근 몇 년간 16~18%의 연성장률을 기록함 o 베트남 전국에 2천 여개의 플라스틱 관련 기업이 있으며 그중 85%는 호치민시에 위치함 - 주요 플라스틱 생산품은 포장용 플라스틱이 39%, 가정용 플라스틱이 32%, 건설용 플라스틱이 14%를 차지하고 있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9%, 기타 플라스틱이 6%를 차지함 □ 베트남 플라스틱 수출 현황 o '20년 상반기 베트남의 플라스틱 제품 수출액은 16억 4천만 달러이며 전년 대비 0.9% 감소함 o '20년 상반기 베트남의 플라스틱 수출국은 1위는 미국이 차지하였으며 총 4억3천만 달러를 수출함 -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8.6% 증가한 금액이며 미국은 전체 플라스틱 수출액의 26.2%를 차지함 □ 베트남 플라스틱 원료 수입 현황 o '20년 상반기 베트남의 플라스틱 원료 수입액은 39억 8천만 달러이며 전년 대비 10.6% 감소함 - 같은 기간 플라스틱 원료 수입량은 316만 통이며 전년 동기 대비 5.7% 증가함 - '20년 상반기 베트남의 주요 플라스틱 원료 수입국는 한국(7억 2천만 달러, 9.7% 감소)이 1위를 차지함 2. 베트남 플라스틱산업 전망 o EU 및 일본 시장의 견고한 플라스틱 제품 수출성장세에 따라서 베트남의 플라스틱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임 - EU와 일본에 주로 수입되는 플라스틱 제품은 플라스틱 파이프와 비닐봉투로 수요 증가세가 견고히 유지되고 있음 o 반면 베트남의 낮은 플라스틱 원자재 자체 생산율, 플라스틱 제품 생산기술 부족과 저숙련 노동력은 해당 산업 성장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함 - 베트남의 주요 생산 플라스틱 제품은 PVC, PET, PP 등이며 해당 제품 원자재 자체 생산율은 전체 수요의 20% ~ 30% 정도에 그침 - 70%에 달하는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원자재 가격 변동 및 환율에 따라 생산비용의 변동성이 커짐 - 또한 베트남이 생산하는 플라스틱 제품은 매우 제한적인 품목으로 한정되어 있어 부가가치가 낮고 시장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어려움 3. 한국 기업의 시사점 o EVFTA의 관세 혜택으로 베트남의 EU 시장 플라스틱 수출은 긍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한 원자재 수요의 증가로 관련 한국기업의 수혜가 전망됨 - 한국은 베트남의 1위 플라스틱 원자재 공급 국가로서 베트남의 수출 증가는 한국의 원자재 공급 증가로 이어져 관련 산업의 수혜가 예상됨 o 반면 원자재 가격 상승 우려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정부는 폐플라스틱 수입을 금지할 전망 - 중국의 폐기물 수입금지에 따라 베트남의 폐기물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여 베트남 정부는 2025년부터 고부가가치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목적을 제외하고 폐플라스틱 수입을 전면 금지할 전망 - 베트남은 한국산 폐플라스틱 수입 1위 국가이나 대부분의 폐플라스틱 수입이 금지될 전망에 따라 한국의 폐플라스틱 처리를 위해 국내 플라스틱 제품 생산에 재활용원자재 활용 확대가 필요함 ※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 바랍니다. ※ 관련보고서 1) 2019년 베트남 플라스틱산업 현황 및 전망 (2019.11.18) 2) 2018년 베트남 플라스틱 산업 동향 및 전망 (2018.11.20) 3) 베트남 플라스틱 시장 동향 및 전망 (2017.10.10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