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2019년 베트남 차량호출서비스 시장 현황 및 전망 2019.06.26 |
---|
|
2019년 베트남 차량호출서비스 시장 현황 및 전망 1. 베트남 차량호출서비스 시장 현황 ㅇ '18년 베트남 차량호출서비스 시장규모는 5억 달러에 달함(Google & Temasek, 2018) - '15년부터 '18년까지 차량호출서비스 시장규모는 연평균 41% 성장함 ㅇ 글로벌 차량호출서비스 Uber社의 동남아 차량사업 매각 및 베트남에서의 영업중단은 타 외국계 경쟁사와 현지 업체에 기회로 작용함 ㅇ '19년 기준 싱가포르의 차량호출서비스 애플리케이션 Grab社는 86%의 압도적인 시장점유율로 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Go-Viet社는 6% 차지함 - 그 밖에 베트남 내 현재 운영중인 서비스는 Go-Viet, FastGo, BE, VATO 등이 있음 2. 기존 운송업체와의 갈등 ㅇ 차량호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택시업계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음 - '17년 베트남 택시회사 Vinasun社는 Grab社가 지속적으로 할인 코드를 제공하는 등 가격 덤핑을 통해 시장을 잠식하고 불공정 경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함 - Vinasun社는 자사가 준수해야 하는 규제 개수는 13개에 달하는 반면 통신 기술 사업으로 규정되어 운송법 준수 의무가 없는 Grab社가 준수해야하는 규제 개수는 3개의 그친다는 점을 지적함(Tuoi Tre News, 2018) - '18년 베트남 법원은 Grab社가 Vinasun社에 약 20만7,000 달러를 배상하라는 1심 판결을 내림(Reuters, 2018) ㅇ 한편, '18년 12월 전통 택시회사 17곳으로 구성된 베트남택시연합이 수도 하노이에서 공식 출범함 3. 향후 전망 ㅇ '18년부터 '25년까지 베트남 차량호출서비스 시장은 연평균 22%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'25년 시장규모는 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(Google & Temasek, 2018) ㅇ 차량호출서비스 시장의 성장요인으로는 스마트폰이용자 확대, 젊은 인구, 차량호출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증가 등이 있음 ㅇ 차량호출서비스 성장의 방해요인으로는 경쟁심화 및 관련 규제강화 등이 있음 ㅇ 베트남 정부는 대체적으로 차량호출서비스를 반기는 입장이지만 이는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음 4. 한국기업의 시사점 ㅇ '19년까지 한국기업의 베트남 차량호출서비스 시장에 대한 투자는 전무함 ㅇ 한국의 카카오는 차량호출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카카오택시를 운영하고 있지만 현재 서비스를 시행하는 국가는 한국과 일본뿐임 ㅇ 베트남 내 차량호출서비스 시장규모 확장으로 인해 베트남 자동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※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보고서를 참고 바랍니다. |